맨위로가기

순천 박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천 박씨는 후백제 견훤의 사위 박영규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박영규는 고려 창업에 기여하여 개국공신이 되었으며, 박난봉을 득관조로 삼았다가 박숙정을 1세조로 계대하고 있다. 본관은 전라남도 순천이며, 문숙공파, 충정공파 등 19개의 파로 나뉘어졌다. 주요 인물로는 박숙정, 박팽년, 박원종 등이 있으며, 조선 왕실과도 인척 관계를 맺었다. 2015년에는 105,208명으로 조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순천 박씨 - 박준규 (1925년)
    박준규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9선 국회의원과 3선 국회의장을 역임했으며 여러 정당에서 활동했고, 1993년 재산 공개 파동으로 의원직을 사퇴한 후 2000년 정계 은퇴, 2014년 별세했다.
  • 순천 박씨 - 박인환 (시인)
    박인환은 1946년 등단 후 모더니즘 시의 기수로 활동하며 '후반기' 동인으로 도시적 비애, 전쟁의 상흔, 젊은 세대의 고뇌를 표현한 시들을 남겼고 젊은 나이에 요절했으나 한국 모더니즘 시에 큰 영향을 미친 시인이다.
순천 박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성씨순천 박씨
順天朴氏
나라한국
관향전라남도 순천시
원시조박혁거세(朴赫居世)
시조박영규(朴英規)
중시조박숙정(朴淑貞)
년도2015
인구107,531명
집성촌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전라북도 정읍시 정우면
충청북도 청주시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경상북도 고령군 우곡면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경상남도 합천군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인물
주요 인물동산원부인
문공왕후
문성왕후
박석명
박중림
박팽년
박중선
승평부부인
박원종
박이장
박춘무
박동명
박종남
박재우
박준규
박종근
박삼규
박성훈
박우순
박겸수

2. 역사

(순천 박씨의 역사에 대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별도로 작성하지 않는다.)

2. 1. 시조 및 초기 역사

순천 박씨의 시조는 승주 사람 박영규이다. 그는 후백제 초대 군주 견훤의 사위로, 태조 왕건을 도와 고려 건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에 책록되고 좌승(左丞)에 올랐으며 승주군(昇州君)에 봉해졌다.

후손의 계대(系代)에 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으며, 후손 박난봉(朴蘭鳳)이 고려 정종 때 과거에 급제하여 정승을 역임하고 평양부원군(平陽府院君)에 봉해지자 그를 득관조로 한다. 평양은 순천의 옛 이름이다.

그러나 박난봉 이후의 계대가 다시 실전되고, 고려 충숙왕 때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지낸 박숙정(朴淑貞)을 1세조(一世組)로 계대(繼代)하고 있다.

2. 2. 중시조 및 중흥

순천 박씨의 시조는 승주 사람 박영규로, 후백제 초대 군주 견훤의 사위였다. 박영규는 태조 왕건을 도와 고려 건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에 책록되고 좌승(左丞)에 올랐으며, 승주군(昇州君)에 봉해졌다.

후손 계대(系代)에 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으며, 후손 박난봉(朴蘭鳳)이 고려 정종 때 과거에 급제하여 정승을 지내고 평양부원군(平陽府院君)에 봉해지자 그를 득관조로 하였다. 평양은 순천의 옛 이름이다.

그러나 박난봉 이후의 계대가 다시 실전되어, 고려 충숙왕 때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지낸 박숙정(朴淑貞)을 1세조(一世組)로 하여 계대(繼代)하고 있다.

3. 본관

순천전라남도 남동쪽에 위치한 지명이다. 백제 시대에 함평군이었으나 신라 때 승평(昇平)으로 고쳤으며, 고려 태조 때에 승주로 하였다가 고려 제3대 군주 정종 때 승평군이 되고, 조선 시대에는 도호부가 되었으며, 그 후부터 여러 차례 변천을 거쳐 1895년 순천군, 1949년 순천시로 개칭되었다.

4. 분파

중시조의 5세손에서 종파와 지파가 나뉘었다. 판윤공(判尹公) 박가권(朴可權)은 아들 둘을 두었는데, 장남 박유성(朴柳星)은 의주목사공파(義州牧使公派) 파조(派祖)이고, 차남 박두성(朴斗星)은 진사공파(進士公派) 파조이다.

의주목사공파는 박인손(朴仁孫)의 승사랑공파(承仕郞公派), 박예손(朴禮孫)의 사맹공파(司猛公派), 박신손(朴信孫)의 주부공파(主簿公派)로 다시 분파되었다.

4. 1. 주요 분파

중시조의 5세손에서 종파와 지파로는 문숙공파(文肅公派), 군수공파(郡守公派), 부정공파(副正公派), 의주목사공파(義州牧使公派), 진사공파(進士公派), 승지공파(承旨公派), 경력공파(經歷公派), 생원공파(生員公派), 제주목사공파(濟州牧使公派), 판관공파(判官公派), 감사공파(監司公派), 충정공파(忠正公派), 교리공파(校理公派), 수찬공파(修撰公派), 박사공파(博士公派), 검열공파(檢閱公派), 전직공파(殿直公派), 인의공파(引儀公派), 부위공파(副尉公派)의 19개 파로 나뉘었다.

파명파조
문숙공파(文肅公派)박석명(朴錫命)
군수공파(郡守公派)박숙명(朴肅命)
부정공파(副正公派)박안명(朴安命)
의주목사공파(義州牧使公派)박유성(朴柳星)
진사공파(進士公派)박두성(朴斗星)
승지공파(承旨公派)박수림(朴壽林)
경력공파(經歷公派)박의번(朴義蕃)
생원공파(生員公派)박배원(朴培源)
제주목사공파(濟州牧使公派)박증원(朴增源)
판관공파(判官公派)박계원(朴壁源)
감사공파(監司公派)박성(朴誠)
충정공파(忠正公派)박팽년
교리공파(校理公派)박인년(朴引年)
수찬공파(修撰公派)박기년(朴耆年)
박사공파(博士公派)박대년(朴大年)
검열공파(檢閱公派)박영년(朴永年)
전직공파(殿直公派)박사제(朴斯梯)
인의공파(引儀公派)박득금(朴得琴)
부위공파(副尉公派)박성금(朴成琴)



판윤공(判尹公) 박가권(朴可權)은 슬하에 2남을 두었는데, 장남 박유성(朴柳星)은 의주목사공파(義州牧使公派)의 파조(派祖)이고, 차남 박두성(朴斗星)은 진사공파(進士公派) 파조이다.

의주목사공파(義州牧使公派)는 박인손(朴仁孫)의 승사랑공파(承仕郞公派), 박예손(朴禮孫)의 사맹공파(司猛公派), 박신손(朴信孫)의 주부공파(主簿公派)로 다시 분파되었다.

4. 2. 의주목사공파 분파

중시조의 5세손에서 여러 파로 나뉘었는데, 그 중 박유성(朴柳星)은 의주목사공파(義州牧使公派)의 파조(派祖)이다. 박유성은 박가권(朴可權)의 장남이다.

의주목사공파는 이후 박인손(朴仁孫)의 승사랑공파(承仕郞公派), 박예손(朴禮孫)의 사맹공파(司猛公派), 박신손(朴信孫)의 주부공파(主簿公派)로 다시 분파되었다.

5. 주요 인물


  • 박숙정: 고려 보문각 대제학을 지냈으며, 순천 박씨 중흥조(中興祖)이다. 경포대(강원도 강릉시 소재)를 창건했다.
  • 박천상: 고려 공민왕 때 문하시중을 지냈으며, 평양부원군(平陽府院君)에 봉해졌다.
  • 박가권: 박천상의 셋째 아들로, 정이품(正二品) 개성판윤(開城判尹)을 지냈다.
  • 박석명: 박가흥의 아들로, 조선 태종 때 명신으로 평양부원군에 봉해졌다. 후대의 박팽년과는 8촌 형제간이다.
  • 박중림: 세종 때 대제학을 역임했다. 사육신과 생육신의 스승이다.
  • 박팽년: 박중림의 아들로, 조선 사육신(死六臣) 중 한 사람이다.
  • 박중선: 조선 세조, 예종, 성종을 모시면서 세 번 공신에 오른 무신이다. 세조 때 평로장군으로 이시애의 난을 진압하고 적개공신 1등, 예종 때 남이를 제거하고 익대공신 3등, 성종 즉위 때 좌리공신에 올랐다. 경기도 관찰사, 도총관, 병조판서, 이조판서에 올랐다. 문과 급제 출신이 아니어서 이판에 오를 때 안된다고 선비들의 상소가 빗발쳤지만 조선 성종은 그를 중용했다. 아들이 중종반정의 최고 공신 박원종이고 큰 딸은 성종의 형인 월산대군의 부인(승평부부인)이 됐다. 따라서 성종의 사돈이 된다. 성종 12년에 죽었다.
  • 박원종: 박중선의 아들로, 조선 중종반정의 주역이며 무과 출신으로 영의정을 지냈다. 박석명의 증손자이다.
  • 박이장: 조선 광해군 때 대사성과 대사간을 지냈다.
  • 박영서: 조선 인조 때 이괄의 난을 평정하다가 황주의 신교에서 죽음을 당했다.
  • 박광일: 조선 숙종 때 왕자의 스승을 지냈고, 저서로 손재집(遜齋集), 진호문답(晋湖問答), 나소판무(羅疏辨誣)를 남겼다.
  • 박준규: 대한민국 13~15대 국회의장을 지냈다.
  • 박종근: 제15~18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박우순: 제18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박성훈: 재능그룹 회장이다.
  • 박지환: 공군사관학교 생도전대 2대대 7중대장 생도다.

6. 집성촌

지역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고읍리
전라북도 정읍시 정우면 장학리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신성동, 비하동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가양리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각리
경상북도 영양군 영양읍 동부리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인곡동
경상북도 고령군 우곡면 사촌리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수륜리
경상남도 합천군 합천읍 영창리
경상남도 합천군 율곡면 갑산리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도곡리
경기도 평택시 팽성면 석근리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귀둔리
경상북도 김천시 조마면 신곡리
전라남도 나주시 세지면 교산리
충청남도 홍성군 광천읍 대판리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7. 항렬자

19세20세21세22세23세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


8. 왕실과의 인척 관계

순천 박씨는 고려와 조선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다. 고려 태조의 왕비 동산원부인, 정종의 왕비 문공왕후문성왕후가 순천 박씨였다. 조선 시대에는 월산대군, 제안대군, 온녕군, 영풍군 등이 순천 박씨와 혼인하였다.

8. 1. 고려

8. 2. 조선


  • 월산대군(세조의 장손, 덕종의 장남) 정비 승평부부인 박씨
  • 제안대군(예종의 차남) 계비 승평부부인 순천 박씨
  • 온녕군(태종의 서자) 정비 익산군부인 순천 박씨
  • 영풍군(세종의 서자) 정비 군부인 순천 박씨

9. 인구

연도가구인구
1985년18,296가구75,888명
2000년27,209가구87,631명
2015년105,208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